펌 글.

어부(魚父)와 굴원(屈原)

서프란 2006. 5. 12. 18:42

 

0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굴원이 죄 없이 추방을 당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강과 못 사이를 쏘다니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연못가 거닐며 슬픔 노래 읊조리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얼굴은 시름겨워 초췌해지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형용은 비쩍 말라 야위었더라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어부가 이를 보고 물어 말하길.
`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대는 삼려대부(三閭大父) 아니신가요?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이런 곳엘 무슨일로 오신건가요?`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굴원이 대답하여 말을 하기를,


`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온 세상 모두가 흐려 있는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나 혼자만이 맑고 깨끗했으며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뭇 사람들 모두가 취해 있는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나 혼자만이 맑은 정신 깨어 있어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만 이렇게 추방당한 거라오.`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어부가 이 말 듣고 말을 하기를,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`성인은 사물에 막힘이 없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세상과 추이(推移)를 같이 한다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세상사람 모두가 흐려 있다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어째서 진흙물 흙탕질을 쳐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 물결 더 높이 일으키질 않으며.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뭇 사람 모두가 취해 있다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 술 지게미 배불리 먹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박주(薄酒)나마 마셔 두지 않고서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어째서 깊은생각 높이 행동해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스스로 추방을 불러 왔나요?`


굴원
중국 초(楚)나라 때의 충신·시인. 원(原)은 자이고, 이름은 평(平)이다. 왕족 출신으로 회왕(懷王)의 좌도(左徒;벼슬이름)가 되어 내정과 외교에 비상한 능력을 발휘했으나, 그 때문에 다른 신하들의 미움을 받았다. 회왕이 술책에 빠져 진(秦)에 유폐되어 객사하자, 장남 경양왕(頃襄王)이 즉위하고 막내 자란(子蘭)은 영윤(令尹;재상)이 되었다. 자란은 아버지를 객사하게 한 장본인이었으므로 굴원은 그를 비난하다가 대부(大夫)의 참언으로 영도에서 추방된 뒤 초나라와 임금을 걱정하며 둥팅호[洞庭湖] 근처를 방랑하다가 미뤄강[汨羅水;汨水]에 몸을 던져 죽었다. 이 때가 5월 5일이었으며 그후부터 이곳에 공물(供物)을 바치는 습속이 생겼다. 《이소(離騷)》를 비롯하여 《어부사(漁父辭)》 등 그의 작품들은 왕에게 버림받은 뒤 쓰여진 것으로, 우수가 짙게 스며 있다. 고대문학사상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 알려져 있고, 초사문학(楚辭文學)의 창시자로서 《초사(楚辭)》에 <구가(九歌)> 11편, <구장(九章)> 9편, <이소> <천문(天問)> <원유(遠遊)> <복거(卜居)> <대초(大招)> 각 1편 등 모두 25편이 실려 전한다. 이 중 <원유> <복거> <대초> 등은 후인의 위작(僞作)인 것으로, 《구가》는 초나라 전래의 민요를 개작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, 또 송옥(宋玉)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《초혼(招魂)》을 굴원의 작품으로 보는 설도 있다.

'펌 글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그대가 있어 더 좋은 하루.  (0) 2006.05.14
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.  (0) 2006.05.13
도마뱀의 우정.  (0) 2006.05.01
부둥켜 안고싶은 이름이여.  (0) 2006.04.29
청산은 나를 보고...  (0) 2006.04.29